2005년 3월 국세청으로부터 법정연구소(국가기관)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음에 따라 법정연구소(국가기관)로서의 권한 획득
설치배경과 발전과정
(1) 설치배경
1959년 1월 13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이 창설되면서 그 부설기관으로 출범. 설립 당시에는 조사연구실이라고 하였으나, 1967년 11월 6일 서울대학교 규칙 제95호에 따라 행정조사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71년에는 연구소 산하에 정책정보실을 설치
1990년 5월4일에는 국가행정관리, 공공정책 등 폭넓은 행정 정책문제에 대한 연구와 정책자문기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하여 명칭을 현재의 한국행정연구소로 개칭하고 2005년 3월에 법정연구소(국가기관)로서의 지위 획득
(2) 조사연구실 시기의 특징
조사연구실로 활동하던 1967년까지 주요 연구실적은 주로 자체 연구활동에 의존하였으며 대표적인 연구로는 지방자치 의식조사, 지방행정에 대한 주민태도조사, 지방행정조직연구, 정부조직개편방향, 한국행정사례연구 등 10여 건인 이들 대부분은 이론적인 성격이었음
(3) 행정조사연구소 시기의 특징
행정조사연구소로 개편된 이후로는 이 당시의 경험을 토대로 이론적인 연구만이 아니라 외부와의 계약에 의해 위탁연구를 다수 수행하여 왔음
(4) 국세청으로부터 법정연구소 인증 획득
2005년 3월 국세청으로부터 법정연구소(국가기관)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음에 따라 법정 연구소(국가기관)로서의 권한 획득
(5) 현재 한국행정연구소의 위상
외부용역연구 위주의 연구활동에서 벗어나 연구소 자체 재원을 활용하여 ⅰ)자체이론연구, ⅱ)관련 분야와의 학제간 연구활동의 강화, ⅲ)거버넌스 포럼 및 시차연구와 같은 독자적인 분야의 이론개발과 활성화, ⅳ)국제회의 개최 확대 등을 통해 이론개발을 주도하는 자립적인 연구소 체제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음
수정요청
현재 페이지에 대한 의견이나 수정요청을 관리자에게 보내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빈 칸에 내용을 간단히 작성해주세요.